회의실에 모입시다!
우리 팀에 어려운 숙제를 맡게 되었습니다. 이런 이런 일이지요. 재밌지 않겠습니까???
어디 한번... 아이디어를 모아 봅시다!
(조용) (우물쭈물) (눈치눈치)
우리 주변에서, 제 주변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입니다. :)
이런 경우에 활용해보면 좋은 브레인스토밍 방법인 브레인라이팅(Brainwriting)을 소개합니다. (붙여 쓰는 것이 옳은 표현!)
브레인라이팅(Brainwriting)은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브레인스토밍의 한 방법으로, 참가자들이 구두로 아이디어를 내는 대신 종이나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글로 아이디어를 작성하는 방식입니다. 이는 특히 내성적인 사람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, 아이디어를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유용합니다.
브레인라이팅의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6-3-5 기법(6-3-5 Method)가 있습니다. 이는 6명의 참가자가 3개의 아이디어를 적고, 이를 5번 반복하여 총 108개의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방식이다.이 기법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발전시키는 데 효과적이며, 말이 아닌 글을 통해 아이디어를 공유하므로 내성적인 사람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
6-3-5 기법의 단계별 진행 과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1. 문제 정의 및 목표 설정
• 해결해야 할 문제나 주제를 명확하게 정의한다.
• 예를 들어, “새로운 전자 결제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법” 같은 주제를 설정할 수 있다.
• 참가자들에게 문제 상황을 설명하고, 어떤 방향의 아이디어가 필요한지 안내한다.
2. 참가자 준비
• 총 6명의 참가자가 한 테이블에 앉거나 온라인 협업 툴을 활용하여 준비한다.
• 각자 빈 종이를 받는다.
• 모든 참가자는 동시에 아이디어를 적을 준비를 한다.
3. 1라운드: 첫 번째 아이디어 작성 (5분)
• 각 참가자는 3개의 아이디어를 종이나 문서에 작성한다.
• 한 아이디어당 한 줄 또는 짧은 문장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다.
• 제한 시간은 5분이며, 시간이 지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.
4. 2~6라운드: 아이디어 발전 및 추가 (각 5분)
• 참가자들은 자신이 작성한 종이를 옆 사람에게 전달한다.
• 전달받은 종이에 적힌 이전 참가자의 아이디어를 읽고,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가하거나 개선한다.
•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어도 되고, 기존 아이디어를 확장해도 된다.
• 이 과정을 총 5번 반복한다.
• 최종적으로 한 장의 종이에는 총 18개의 아이디어(3개 × 6명)가 적히게 된다.
5. 아이디어 정리 및 공유
• 6라운드가 끝나면, 각 참가자는 자신이 마지막으로 받은 종이를 보고, 가장 유망한 아이디어를 선택한다.
• 팀원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공유하며, 중복되는 아이디어를 정리하고, 핵심 아이디어를 선별한다.
• 정리된 아이디어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실행 가능한 방안을 도출한다.
사람들이 드릴을 구매하는 이유는, 드릴이 필요해서가 아니라 벽에 구멍을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. (0) | 2025.01.19 |
---|---|
제품팀이 훌륭한 사업개발팀과 함께 일하는 것은 최고의 축복입니다. (0) | 2025.01.15 |
알스퀘어에서 준비한 두 번째 제품 Homedot 서비스의 시작을 앞두고 있습니다. (3) | 2024.08.30 |
“우리 회사에 인하우스 개발팀이 있는데 왜 아웃소싱을 하는 건가요?” (1) | 2024.02.12 |
'반복적 개발 방법론'의 의미 제대로 이해하기 (1) | 2023.12.29 |